The king and his men stole the queen from her bed
왕과 그의 신하들은 여왕을 침대에서 끌어내
and bound her in her bones
그녀의 뼈 안에 가두었지
The seas be ours and by the powers
그 힘으로 바다는 우리 것이 될 거고,
where we will, we'll roam
우리의 무대가 될거야
Yo ho, all together
Yo-ho, 모두들
hoist the colours high
깃발을 높이 올려라
heave ho, thieves and beggers
영차, 우리는 도둑과 거지들
never shall we die
우린 절대 죽지 않아
캐러비안의 해적 3 프롤로그를 장식하던 노래. 교수형 당해 주렁주렁 매달리는 신세가 된 해적과 그 가족들 사이에서 한 소년이 노래를 부른다. 그리고 쇠사슬 묶인 채 끌려가는 해적들의 합창. 키가 작은 소년은 받침대 위에 놓여져서 목에 밧줄이 걸린다.
죽어 마땅한 범죄자들이었을지도 모른다. 검은 해골기 휘날리며 평화로운 교역선을 습격해서 선원들을 죽이고 화물을 강탈하여 어느 섬엔가 숨겨 놓은 인간 이하의 욕심꾸러기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노래 속에서 스스로를 도둑과 거지들이라고 일컫는다. 바다로 내몰릴 수 밖에 없었던 인생들. 땅에 희망이 없었던 삶들.
어찌되었건 손에 총을 든 이상 그들 또한 목숨을 걸어야 하고, 죽임을 당하는 것에 억울함이 많을 수는 없다. 그리고 수백명을 교수대에 매달던 붉은 군복의 영국군처럼, '평화와 정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무법자들을 처단해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래도 "반동이 적어서 진압에 용이한" MP-5 기관단총 세례를 받고 죽어간 소말리아 해적들에게도 기도는 올려 주어야겠다. 저들 길지 않은 인생 내내 없었을 안식의 시간이 주어지기를. 그들의 가족과 친구들의 기억 속에서 영원히 죽지 않기를. 그들의 벗과 후예들이 해적의 대를 잇지 않기를
덧글
전쟁을 벌여 이기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사람을 죽이는 것을 즐기는 것이요, 저 사람 죽이는 것을 즐기는 사람은 천하의 뜻을 얻을 수 없다. ...(중략)... (전쟁을 하게 되면) 많은 사람을 죽이게 되니 애통하게 울 것이요, 전쟁에 이기더라도 (승리한 군사를) 상례(喪禮)의 예로써 대할 것이다.
...란 노자도덕경의 내용이 생각납니다.
아! 옛 사람의 현명함이여~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 용기 있는 평균인이 세상을 바로 보는 법을 말합니다"...???
지나가는 소가 웃겠네.
그리고, 남의 글에 '바보'가 뭔가, 쯧쯧...
상대의 성의있는 답변을 원하시기 이전에 먼저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듣기 싫으면 적대적인 글입니까? “민중의 아픔을 적절히 이용할 줄 아는 댁의 비장한 글을 읽을 때마다 ‘상주보다 곡쟁이가 더 서럽다’는 속담이 떠오릅니다. 속내가 뭔지 자못 찜찜해 하면서도, 공으로 울어주는 것 같은 곡쟁이가 아쉽고 고마운 그런 민중을 용케 찾아내는 것도 재주이긴 하겠지요.”라는 도전적인 댓글에는 민중의 아픔을 이용하지는 않았다든지, 속내 없는 순수였다는 반론 정도는 기대했는데 도리어 행동을 돌아보라는 설교를 듣게 되는군요.
소말리아의 문제들이 워낙 거대하고 많으니..